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급변하는 시대적 환경은 산업 및 시장의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흔들고 있습니다.
혁신은 더 이상 미래를 위한 지향점에 머물러 있지 않으며, 당장의 필연적 과제로 다가왔습니다.
SWCI Lab. Center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환경 문제에 따른 리스크와 실내 오염, 감염 요소의 예방을 위한 스마트 워크플레이스 구축을 돕습니다.
우리는 첨단 디지털 ICT 기술을 활용하여 새롭게 소통하고 공유하는 일터를 지향합니다.
과거의 일률적인 근무방식을 탈피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스마트 워크플레이스 구축 모델을 개발하였습니다.
SWCI Lab. Center의 전문가 조직은 새로운 스마트 워크 방식의 제시, 정부의 제도에 발맞춘 유연근무제의 성공적 촉진,
자율적이지만 몰입과 이완을 통해 지속적 성과를 만들어 내는 조직의 혁신 기틀을 마련하고자 노력합니다.
우리는 부서, 직위, 연령, 성별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성 존중의 공간, 휴식과 배움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R&D와 다양한 방식의 컨설팅과 코칭을 제공합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 가능한 일하는 방식의 변화, 조직문화 혁신, 스마트 오피스 공간혁신 컨설팅/디자인/설계/시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그린뉴딜 분야 인프라 구축 혁신 정책에 발맞추어, 그린 스마트 스쿨 부문 노후학교 통합리모델링 사업, 교육부문 디지털 공간혁신, 교사와 학생들의 참여형 교육환경 구축을 지원합니다.
제조 현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중소/중견기업의 사무현장 개선 사업을 통해 지능형/자동화 시스템과 연계한 제조 거점 오피스의 리모델링 사업과 클라우드 기반의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스마트 시티의 구심점이 되는 스마트 빌딩(사옥)구축의 6가지 핵심 솔루션을 통해 각 분야 전문 협력기업들의 다양한 역량이 결집되어 첨단 설비, 환경, 에너지, 자산가치의 혁신을 추진합니다.
‘스마트 오피스’는 단순히 인테리어를 쾌적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 가능한 청정환경 솔루션 구축과 더불어,
기업의 ‘문화혁신(Culture Innovation)’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모든 프로세스를 주도합니다.
우리 조직문화의 역사와 환경을 근간으로 한, 우리만의 ‘혁신의 틀’을 공간을 통해 이뤄 나가시길 기원합니다.
혁신기업의 위대한 선택
스마트오피스 포트폴리오
(2017. 04)
혁신기업의 위대한 선택
스마트오피스 성공사례 - 유한킴벌리
(2017. 04)
혁신기업의 위대한 선택
스마트오피스 모델의 탄생 모듈화
(2017. 09)
혁신기업의 위대한 탄생,
스마트오피스 모델의 탄생(개정판)
(2019. 06 출간)
국내 최초로 스마트오피스의 종합 솔루션을 디자인 사업에 접목시켰으며, 행정안전부 자문위원단 공공기관 컨설팅 기업 위촉,
유한킴벌리, 풀무원, SKT, LG유니참, BOSCH, NE 능률, 라이나 생명 등국내 유수 기업들의 스마트오피스 디자인 설계에서 시공,
SOCI 컨설팅 등을진행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우리 기업들의 현주소와 한계를 뛰어 넘을 새로운 혁신을 준비한다.
(주)디자인그룹아침은 스마트 오피스 공간에서 개인간 팀간 융합되는 수많은 접점의 영향력을 다각도로 확장하기 위한 연구와 적용을
위해 연구법인인 ‘SMART OFFICE CULTURE INNOVATION Lab.’을 개설하였다.
SOCI Lab.은 스마트오피스의 4가지 관점을 연구하며 컨설팅에 적용하기 위한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SOCI Lab.은 스마트오피스를 도입하고자 하는 모든 조직에 컨설팅을 제공하며, 관련 아이디어를 <혁신 기업의 위대한 선택 스마트
오피스 모델의 탄생 > 시리즈를 통해 소개하고 있다.
또한, (주)디자인그룹아침은 4차 산업혁명의 브랜드 마케팅의 경쟁력에 대비한 ‘(주)BRAND UP ACHIME’ 팀을 통해,
<혁신 기업의 위대한 선택 스마트 오피스 모델의 탄생 > 시리즈를 지속적으로 기획, 발간하며 스마트오피스의 이해와통찰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모든 자료 및 파일은 (주)디자인그룹아침의 법적인 권리가 있는 정보입니다. 본 정보의 유출, 복사, 배포 및 기타 행위를 엄격히 금하오며, 무단으로 도용하거나 사용/제작할 경우 지적재산권 침해에 따른 민·형사상의 법률적 책임을 받을 수 있습니다.